2025년 지역별·차종별 전기차 보조금 정책 총정리 | 얼마 받을 수 있을까?

2025. 6. 29. 08:37아하! 그렇군요

반응형

2025년 기준 우리나라 전기차 보조금 정책에 대한 종합 정리해보겠습니다.

 

지역별로 보조금 정책 다른거 알고 계신가요?

반드시 숙지하시고 보조금을 최대한 받을 수 있도록 가봅시다!

 

 

 


🚗 1. 보조금 구성 – 국고 + 지자체

  • 국고 보조금: 환경부 지원
  • 지자체 보조금: 시·도별로 상이, 서울은 지방비 추가 없고, 일부 광역·기초지자체는 최대 수백만 원 지원 

◆ 국고 보조금 기준 (승용차 기준) 

차량가 국고 보조금
≤ 5,300만 원 전액 지원 (최대 630만 원)
5,300~8,500만 원 보조금의 50% (상한선 이하)
8,500만원 이상 지원 대상 제외 

 

* 최대 보조금: 630만 원 


🏙️ 2. 지역별 지자체 지원

  • 서울특별시: 지방비 없음, 국비만 630만 원 
  • 경기도: 일부 시(예: 안산)는 최대 1,090만 원 
  • 대전광역시: 최대 1,520만 원 (820만+700만) 
  • 합천, 거창 등 기초지자체: 최대 910만~1,790만 원 지원 

※ 지역별 차이 크므로, 거주지 관할 공고 확인이 필수 

 


🚘 3. 차종별 지원 요약

  • 소형/중형 전기 승용차가 주요 대상
  • 초소형 전기화물차: 국고 380만 원, 경사하면 50만 원 추가 
  • 전기화물·승합 등도 별도 기준 있음 

 


🎯 4. 추가 우대 대상

국고 보조금 외 별도 가중 혜택:

  • 청년층(19~34세): 국비 최대 20% 추가 지원 
  • 차상위 이하 계층: 국비 ±20% 추가 지원 
  • 다자녀 가구: 자녀 수별 최대 300만 원 추가 지원 
  • 전기 택시 등 특정 사업용 차량: 추가 국비 지원(250만 원) 

 


✅ 5. 보조금 자격 요건

  • 신규 등록 전기차(등록말소 이력 없어야 함) 
  • 2년 의무 운행: 위반 시 보조금 환수 대상 
  • 거주 요건: 신청일 기준 30일 이상 해당 지자체 거주 
  • 중복 제한: 동일 차종 2년 내 두 대 이상 보조금 지급은 첫 대만 해당 
  • 기타: 제조사 직원 등의 자사 차량은 지원 제외 

 

 

🧭 6. 신청 절차 요약

  • 차량 구매계약 체결 (보조금 대상 차량 여부 확인)
  • 무공해차 통합누리집 또는 대리점 통해 신청 
  • 서류 제출: 계약서, 주민등록초본, 사업자증명 등 
  • 심사 및 선정: 지자체/환경부 검토 → 선정
  • 차량 출고·등록 후 10~14일 내 보조금 지급 
  • 의무 운행 2년 준수 요청

 


🗓️ 7. 공고 및 예산 시기

  • 연 2회 이상 지자체 공고
  •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 가능 
  • 2025년 상반기 승용차 4,000대 예산 배정 


 

 

8. 예시: 경기도에서 청년이 테슬라 모델3, 모델 Y 구매시 보조금   

차종 국비 지방비 총액
모델 3 RWD 186만 원 273만 원 459만 원
모델 3 롱레인지 202만 원 273만 원 475만 원
모델 3 퍼포먼스 187만 원 273만 원 460만 원
모델 Y RWD 188만 원 273만 원 461만 원
모델 Y 롱레인지 207만 원 273만 원 480만 원

 

청년 할인 적용 가능:
만 19~34세 청년이 생애 첫 전기차 구매자라면, 국비의 20% 추가 지원 적용
→ 예: 모델 3 RWD 국비 186만 원 → 223만 원, 합계 223 + 273 = 496만 원

반응형